▒ 코끼리한의원
등록일 : 2021-07-05 10:49
제 목
[이상곤의 실록한의학]<109>-인생 후반 아름다움을 찾아줄 모란
작성자
코끼리
359
조회수


요즘 꽃놀이라면 벚꽃이나 장미가 최고인줄 알지만, 동양에서 꽃의 왕은 모란(목단)이고 꽃의 재상은 함박꽃(작약)이다. 모란은 꽃의 왕답게 계절의 여왕인 5월에 핀다. 재위 17년, 태종은 격무로 바쁜 와중에도 형님인 상왕 정종을 모시면서 “지금 모란꽃도 활짝 피었으니 좋은 때를 헛되게 저버릴 수가 없다”며 술자리를 마련하기도 했다. 그만큼 모란은 조선 꽃놀이의 백미였다.

당 현종과 양귀비는 모란꽃 감상회를 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태백은 이때 한림학사로 초대받아 마음껏 아양을 떨었다. “명화와 경국지색이 어울려 왕의 얼굴에 미소 가득하네”로 시작하는 ‘청평조사’는 이때 지어졌다.

꽃이 아름다우면 뿌리의 약효도 좋을 듯하지만 반대다. 본초강목은 “많은 거름과 토양으로 색다른 진귀한 꽃을 피우면 뿌리는 약효가 없다”고 지적한다. 한의학에서 모든 존재는 완벽한 태극으로 이뤄져 음양의 양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겉이 딱딱한 것은 속이 부드럽다. 자라 거북은 껍데기는 단단하지만 속 몸통은 부드럽다. 반대로 복숭아나 자두는 겉은 부드럽지만 속은 단단한 씨로 구성되어 있는 것과 같다. 음과 양은 존재를 구성하는 필수적인 요소다.

모란도 음양이 균형감 있게 조화를 이뤘다. 흐드러진 꽃은 생의 가장 아름다운 시절을 보여주는 것 같다. 모란 뿌리는 갱년기 자궁 위축을 치료하는 가장 훌륭한 약재다. 한의학에서 여성성은 우리 몸의 주요 혈맥 중 하나인 ‘충맥(衝脈)’이 주도한다. 충맥은 상승하면서 비워진 곳을 채워주는 기능을 한다. 젊은 여성은 혈액이 생기면 처음에는 자궁을 채운 다음, 가슴과 머리로 올라간다. 하지만 갱년기가 돼 자궁이 위축되면 자궁을 채울 혈액이 가슴으로 몰리면서 심장의 혈류량이 넘쳐 흐르고 열기가 위로, 머리로 올라간다. 상부로 올라온 열기는 두통과 상기증, 어지러움, 이명, 상부 온열감, 하체 냉감, 두근거림, 심리적 초조감을 만들어낸다.

모란의 껍질(목단피)은 찬 성질과 매운맛으로 상부의 열을 내리며 막힌 곳을 뚫어준다. 한마디로 갱년기 증상에 딱 맞춤인 약이다. 효종의 왕비였던 인선왕후 장씨는 효종이 죽고 난 다음부터 갱년기 증세를 심하게 앓았다. 남편 효종과 중국 선양(瀋陽)으로 끌려가 8년간 볼모 생활을 할 때의 마음고생이 컸다. 효종이 임금에 오른 지 10년 만에 단명하고 남편 효종의 아들 현종이 왕위를 잇자 인선왕후의 고민은 더 깊어졌다.

승정원일기는 당시 인선왕후의 증상에 대해 “심화(心火)가 끓어올라 머리가 아프고 저녁이 되면 열이 오르며 가슴이 답답한 증상이 반복되었다”고 쓰고 있다. 인선왕후는 온갖 심리적 증상과 불면증, 우울감 등 갱년기 여성 대부분이 호소하는 증상을 모두 호소하고 있었다. 인선왕후는 이런 전형적 갱년기 증상을 치료하기 위해 가미소요산과 자음지보탕에 목단피를 넣어 5년여간 복용했다.

시인 김영랑에게는 지는 모란꽃이 ‘찬란한 슬픔’일지 모르지만 갱년기를 넘어선 여성에게는 더욱 성숙해진 모란 뿌리가 인생 후반기 아름다움을 찾아주는 ‘신비의 묘약’이 될지도 모른다.

이상곤 갑산한의원 원장
동아일보 이상곤의 실록한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