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조, 불면증과 식욕부진, 다양한 신경쇠약 등 호소
귀비탕, 감맥대로탕 처방 등으로 치료해
세도정치로 인한 스트레스
정작 순조를 괴롭힌 건 왕 노릇으로 인한 스트레스다. 정순왕후의 섭정으로 주눅이 든 데다, 다시 여우를 피하다 만난 호랑이처럼 처가쪽 김조순의 세도정치로 기를 펴지 못했기 때문이다. 전조증상은 신경성 질환으로 불리는 편두통처럼 다가온다. 순조는 재위 10년을 맞으면서 귀 주변이 땅기고 아프다는 고통을 호소해 육화탕을 처방받는다. 귀 주변이 아프고 땅기는 건 편두통 증상에서 흔한 전형적인 증상이다.
그런데 의관들은 신경성 증상을 중이염으로 착각한다. 그래서 염증성 증상에 투여하는 형개연교탕과 만형자산을 처방했다. 신경성 증상을 염증성으로 착각한 것도 무리일 뿐더러 본래 속이 약한 사람에게 생지황이나 찬 성질의 약을 처방하니 소화기능에 문제가 생기는 건 당연하다. 그래서 의관들은 설사와 식욕부진에 쓰는 건비탕을 급히 다시 지어 올린다.
순조가 본격적으로 신경성 증상을 호소한 때는 다음해인 재위 11년이다. 순조는 전좌(殿座)하는 일이 자주 있다고 걱정한다. ‘조선왕조실록’은 전좌 증상을 앉아서 가만히 있지 못하고 전전긍긍하는 불안증세로 파악했다.
“근래에 전당에 임어하심이 거의 빠지는 날이 없으시니, 성궁의 노고는 이미 말할 수 없지만, 전좌하셨을 적에는 그 일을 끝낸 적이 없으며, 출궁이나 환궁하는 경우에는 매번 허둥대며 급히 서두르는 탄식이 있습니다. 전하께서 비록 화기(火氣)가 쌓인 증세로 인연하여 어쩔 수 없이 이렇게 답답함을 소통시키는 자료로 삼기는 하지만….”
순조는 자신의 마음 상태를 솔직히 털어놓는다. “내 마음을 내가 도리어 알지 못하는 때가 있다.”, “평상시에도 시끄럽게 떠드는 것을 좋아하지는 않았지만 걸어다니는 소리 같은 것도 역시 모두 듣기가 싫다.”
병적으로 나타나는 증상도 그대로 이야기한다. 조동(躁動)증이 생겼다고 말한 것이다. 조동은 말 그대로 심장이 급박하게 뛰면서 마음이 급해진다는 뜻이다.
이런 불안증세에도 영부사(領府事·조선시대 중추부의 으뜸 벼슬) 이시수는 유학적 치료법인, 마음을 기르는 양심(養心)을 제시했다. “간혹 번조하고 답답하더라도 참을 인(忍)자 공부에 착수하여 오늘과 내일에 참고 또 참는다면 저절로 평상시처럼 회복될 것입니다.”
순조는 마음뿐만 아니라 신체적으로도 기력이 쇠진했다. “어머니께 문안할 때면 번번이 걸어서 나아갔지만 땀이 나는 경우가 없었는데 지금의 경우는 걸어서 절반도 못가고 이미 몸에 땀이나고 숨이 차며 수라는 입맛이 달지 않아 잘 먹지 못하며 정신이 황홀하다.”, “잠이 드는 것을 하룻밤으로 견준다면 거의 3, 4경쯤이며 수라는 평상시의 10분의1 정도다.”
“내마음 나도 몰라”
순조는 재위 11년, 22세가 되던 시점부터 불면증과 식욕부진, 사지무력, 피로, 정신황홀, 현기증이라는 다양한 신경쇠약증과 소화불량증을 호소한다. 처방한 약물들을 살펴보면, 순조의 여성적 성품이 분명히 드러난다. 귀비탕과 감맥대조탕, 가미소요산을 각각 처방받았는데, 이 처방들은 여성의 우울증이나 히스테리에 사용하는 대표적인 치료약물이다.
귀비탕은 송나라의 엄용화가 개발한 건망증 치료 약물로 ‘일에 대한 근심이 지나쳐 심장과 비장이 과로하고 건망증이나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상이 병이 된 것’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증상의 허실과 음양 중 몸이 활발하고 남성적인 양증에는 사용하지 말 것을 경고한 음증의 여성적인 처방이다.
감맥대조탕도 마찬가지다. 감초와 밀, 대추 3가지로 구성된 처방으로, 역시 장중경이 지은 ‘금궤요략(金匱要略)’ 22편에 기재돼 있다. 치료 목표는 “부인이 히스테리로 울거나 웃거나 하고 귀신에게 홀린 것처럼 되어 빈번히 하품을 하는 경우에 사용한다”라고 돼 있다. 즉, 정신안정 작용을 하는 처방이다.
가미소요산은 정조가 화증(火症)에 자주 사용했던 처방이다. 어깨가 자주 결리고 쉽게 피로하며 정신불안 등의 신경증상이 있는 허약체질에 사용하는 처방이다.
이상곤 원장·갑산한의원